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레시피/보도자료143

2040 서울 도시기본계획(안), 보도자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최상위 공간계획, 「2040 서울 도시기본계획(안)」을 발표하였습니다. 5년마다 재정비하는 규정에 따라 지난 2014년에 수립된 을 대체하는 계획. 6대 공간계획 1) '보행 일상권' 도입 2) 수변 중심 공간 재편 3) 중심지 기능 강화로 도시경쟁력 강화 4) 다양한 도시 모습, 도시계획 대전환 5) 지상철도 지하화 6) 미래 교통 인프라 확충 이 중 「2040 서울 도시기본계획(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네 번째 도시계획 대전환' 부분을 보면, 35층 높이 기준 삭제. 도시를 주거와 공업, 산업, 녹지로 구분하는 '용도지역제'는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인 '비욘드 조닝(Beyond Zoning)'으로의 전면 개편을 준비. 일률적이고 절대적인 수치 기준으로.. 2022. 3. 4.
서울시, 송파 가락삼익맨숀 재건축 심의 통과 서울시의 2021.12.29 보도자료입니다. 서울시 송파 가락 삼익맨션아파트. 14개 동(936세대), 12층, 사용승인 1984년 12월 20일, 주소 서울시 송파구 송파동 166, 공급면적 102㎡(30평형), 127㎡(38평형), 148㎡(44평형), 174㎡(52평형) 재건축 건축심의 통과. 지상 30층, 지하 3층 규모로 15개 동 1,531세대 계획 전용 59평형 장기전세주택 173세대 계획, 서울시 거주 무주택자에게 공급 구역 내 소공원과 구립 어린이집 설치 2022년 사업시행인가, 2025년 착공 예정 ※ 다음은 보도자료 원문입니다. ※ 송파 가락 삼익맨션아파트 재건축, 위치도와 배치도. ※ 송파 가락 삼익맨션아파트 재건축, 조감도. 서울 재건축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Speed Up.. 2022. 1. 6.
전월세 거래정보 시범 공개, 서울부터 국토교통부는 11월 30일부터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임대차 신고제로 수집한 전월세 거래정보 일부를 시범 공개한다고 합니다. 이번 시범 공개는 서울지역을 우선 공개하고 향후 공개 지역을 확대해 나갈 예정. 매월 신고실적을 취합하여 분석 후 익월 말 공개되며, 2021.6~10월까지의 신고정보는 11월 30일에 일괄 공개할 예정. 또한 국토부는 임대차 신고제가 보다 빠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임대차 신고(확정일자 포함)를 한 임차인에게 임차계약 만료 전 갱신 계약 시 유의사항을 알려주는 「임대차 알림 톡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 알림 톡을 통해 임차인에게 ①갱신계약을 요청할 수 있는 시점과 ②갱신요구권 사용 시 유의사항, ③임대차 계약 시 임대차 신고의무 등을 사전에 안내할 예정. ①임대차 계약 종.. 2021. 11. 29.
11월 01일 이후,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직거래 여부와 중개사 소재지 공개 11월 1일 이후 체결된 부동산 거래계약부터, 해당 거래의 직거래 여부와 중개사 소재지 정보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추가로 공개된다. 공장·창고 실거래가는 내년 하반기에 공개 예정. 현재는 부동산 소재지, 전용면적, 계약일, 해제 여부, 해제사유발생일, 거래금액, 층수 등. 이번에 추가된 정보 공개의 적용대상은 11월 1일부터 체결된 계약 건이며, 거래당사자(개인·공인중개사)가 신고관청이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거래내용을 신고하면 통상 신고한 다음 날 시스템에 공개된다. ※ 기존 건축년도 정보는 공개 화면의 전산 공부_건축물대장, 도로조건은 전산 공부_토지이용계획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공인중개사사무소, 한길 010-4052-7378 http://rt.molit.go.kr/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 2021. 11. 1.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 주요 Q & A 4.29일 발표한(7월 시행)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이어 3개월여 만에 추가 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 DSR 규제 조기 시행, 대출 2억 원 넘으면 DSR 규제, 제2금융권도 관리 강화 2022년 1월부터 2억 원을 초과할 경우, 7월부터 1억 원을 초과할 경우 DSR 적용. 제2금융권 기준은 60% → 50%로 강화. DSR 산출 때 대출 만기를 최대 만기 등으로 일괄 적용해 대출 기한을 늘릴 수 있었지만, 대출별 평균 만기로 축소. 또한 차주 단위 DSR 산정 시, 카드론도 포함하고 DSR 산출 만기는 원칙적으로 약정 만기를 적용. 주요 Q & A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 주요 Q & A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만 나열합니다.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참조하거나, 하단.. 2021. 10. 26.
부동산 중개보수 인하, 19일부터 시행 일반 사람 '야, 복비 19일부터 내린다면서?' 공인중개사 '10월 중에 시행 예정이라고 했지, 아직 날짜가 정해지진 않은 걸로 아는데!' 헐?! 국토교통부 뉴스·소식란의 보도자료가 아닌 설명·반박자료에 올려져 있어서, 뒤늦게 확인함. (10월 15일 발표) 지난 8월 20일 발표한 '부동산 중개보수 및 중개서비스 개선방안' 내용 중, 중개보수 요율 인하를 위한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10월 19일 공포·시행한다는 소식. 내가 궁금한 건 이 보도자료를 왜 숨기듯 설명·반박자료에 올린 걸까? 제대로 변경된 중개보수 요율표가 나오면, 다시 한 번 정리할 예정. 공인중개사사무소, 한길 010-4052-7378 2021. 10. 17.
한남 5구역, 반포대교 북단 남산자락에 2,555세대 들어선다! 한강변 한남뉴타운 중 최고로 손꼽히는 한남 5구역. 한남 5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 통과 반포대교 북단 남산자락에 2,500여 세대 건립. 제9차 서울특별시 도시재정비위원회를 개최, 용산구 동빙고동 60번지 일대 한남 5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및 경관심의(안)을 수정 가결했다는 소식. 위치도 (용산구 동빙고동 60번지 일대) 건축계획은 해발 90미터 범위 내에서 서울의 핵심 경관자원인 남산의 7부 능선을 넘지 않도록, 최고 지상 23층 이하로 계획. 용적률 219.4%, 세대수 2,555세대(임대 384세대 포함) 규모. 특히 60㎡ 이하 소형평형 위주의 임대주택 공급에서 탈피하여, 전용 84㎡ 규모의 임대주택을 20세대 확보하고, 임대주택을 구역 전체에 분산배치 및 임대주택과 동일한 평형의 분양.. 2021. 10. 6.
오피스텔 바닥난방, 도생 공간구성 규제 완화한다! 도시형 생활주택 규제 완화 도시형 생활주택은 '원룸형'에서 '소형'으로 개편하고 전용면적 확대, 허용면적 상한 기준 전용 50㎡ 이하에서 전용 60㎡ 이하로 확대한다. 공간구성 제한도 완화, 기존 2개에서 4개로 완화한다. 단, 부대·기반시설 과부하 방지를 위해 공간 구성 완화 세대는 전체 세대수의 1/3 이하로 제한. 오피스텔 규제 완화 오피스텔의 주거기능 강화를 위해 바닥 난방 허용면적을 확대, 전용 85㎡ 아파트와 유사한 실사용면적 확보를 위해 120㎡까지 바닥난방 제한 완화. 이밖에 도시기금 대출한도 확대와 금리 인하 등의 금융지원, 주택건설사업계획 통합심의 활성화, HUG 고분양가 관리제도 개선, 분양가 상한제 심의기준 구체화. 이번 보도자료를 요약하면 이 정도일 듯합니다. 우후죽순 쏟아질 도생.. 2021. 9. 16.
2021.08.20 중개보수 개선 방안 국토교통부에서 중개보수 개편안을 발표하였습니다. 보도 자료의 주요 내용은 중개보수 요율 조정, 공인중개사 책임한도 상향, 공인중개사 시험 상대평가 도입 ※ 중개보수 개편안 보도자료를 보면 '이내에서 협의'라는 표현은 없지만, 매매 9억 원 이상의 구간과 임대차 6억 원 이상의 구간은 '이내에서 협의'인 듯합니다. 중개보수 개편안의 시행 시점은 이르면 10월부터 시행될 것으로 예상. 현행 매매의 경우, 9억원 이상은 0.9 이내에서 협의 임대차의 경우, 6억원 이상은 0.8 이내에서 협의 개편안 매매의 경우, 2억원 이상 6억원 미만 구간과 6억원 이상 9억원 미만 구간 0.4로 통합, 9억원 이상 구간 세분화(0.5 / 0.6 / 0.7) 임대차의 경우,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 구간과 3억원 이상 6억.. 2021. 8. 20.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가입신청서 & 제출서류 희망두배 청년통장 일하는 청년이 매월 10만 원·15만 원을 2~3년 꾸준히 저축하면, 저축액의 100%를 서울시 예산과 민간재원으로 추가 적립해 2배 이상으로(이자 포함) 돌려받을 수 있다. 신청자격 서울시 거주 만 18세 이상 ~ 34세 이하 저소득 근로청년 대상. 청년 본인은 세전 월소득 월 255만 원 이하(기준중위소득 140% 이하)이면서, 부모·배우자(부양의무자)의 소득 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4인 가족 기준 390만 원) 이하여야 함. 모집 인원은 7,000명. 14세 이하 자녀 양육 저소득가구 지원 '꿈나래통장' 가입자 300명도 모집. 자녀 교육비 마련이 필요한 저소득 자녀가구가 3년 또는 5년 간 저축하면 시가 저축액의 50~100%를 매칭, 본인 저축액의 1.5~2배 이상을 받을.. 2021.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