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중개수수료(중개보수), 요율표 & 계산 방법!
※ 주의 2021.10.19부터 중개보수(주택 부분)가 개편되었습니다. 계산 방식만 참고하고, 달라진 요율표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1.10.19 시행, 서울시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 2021.10.19부터 주택 부분 중개보수가 개편되었습니다. 주택 외 오피스텔, 토지, 상가 부분은 변동 사항 없음. 주택(주택의 부속토지, 주택분양권 포함)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 제20조제1항, 별표1 (2 hans1106.tistory.com 부동산 중개 보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부가가치세는 별도임) 먼저, 주택의 경우 거래내용에 따라, 금액에 따라 요율이 달라지며 일정 구간은 한도액이 있습니다. ※ 주택(주택의 부속토지, 주택분양권 포함) 「서울특별시 주택중개보수 등에 관한 조례」 제2조, 별표1 거래내용 ..
2020. 3. 17.
양도소득세, 누진공제액이란? 누진세율이란??
세금, 양도소득세 아홉 번째 이야기 2020.12.29 개정된 10억원 초과 구간 추가함. The bigger you get, the more you pay. 양도소득세는 과세표준이 올라감에 따라 세율이 더 높아지는 누진세입니다. 대표적인 누진세율 적용 세금은 소득세 / 상속세 / 증여세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가 있습니다. 1. 소득세 세율 먼저, 소득세 세율을 알아보자! ※ 「소득세법」 제55조(세율) 과세표준 기본세율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72만원 + (1,200만원 초과금액의 15%)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582만원 + (4,600만원 초과금액의 24%) 8,800만원 초과 1억5천만원 이하 1,590만원 + (8,800만원 초과금액의..
2020.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