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레시피645

[계약 완료] 교대역 1번 출구 동진빌딩, 룸7 사무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8. 11.
[계약 완료] 교대역 1번 출구 동호빌딩, 룸 3 사무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8. 11.
[계약 완료] 교대역 13번 출구 카이스빌딩, 인테리어 룸 다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8. 10.
1주택자 된 시점부터, 장특공 바꾼다? 또다시 바꾼다, 장기보유특별공제! 2021.08.02 유동수 의원 등 14인이 발의한 법안. 제안이유는 생략하고 주요 내용을 그대로 가져옴. (출처 의안정보시스템) 주요 내용 가. 고가주택 기준 규정을 시행령에서 법률로 상향 입법하고 기준금액을 상향조정(안 제89조제1항제3호 및 제4호) 그간 시행령으로 규정하던 고가주택 규정을 법률로 상향 입법하면서 그간의 물가 수준 및 주택가격 상승 등을 감안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이 되는 고가주택 기준금액을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 조정함. 나. 보유기간별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양도차익 규모별로 차등 적용(안 제95조제2항) 고액의 양도차익 방지를 위해 보유기간별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양도차익별로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차등 적용함. 다. 1세대 1주택자에 .. 2021. 8. 3.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가입신청서 & 제출서류 희망두배 청년통장 일하는 청년이 매월 10만 원·15만 원을 2~3년 꾸준히 저축하면, 저축액의 100%를 서울시 예산과 민간재원으로 추가 적립해 2배 이상으로(이자 포함) 돌려받을 수 있다. 신청자격 서울시 거주 만 18세 이상 ~ 34세 이하 저소득 근로청년 대상. 청년 본인은 세전 월소득 월 255만 원 이하(기준중위소득 140% 이하)이면서, 부모·배우자(부양의무자)의 소득 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4인 가족 기준 390만 원) 이하여야 함. 모집 인원은 7,000명. 14세 이하 자녀 양육 저소득가구 지원 '꿈나래통장' 가입자 300명도 모집. 자녀 교육비 마련이 필요한 저소득 자녀가구가 3년 또는 5년 간 저축하면 시가 저축액의 50~100%를 매칭, 본인 저축액의 1.5~2배 이상을 받을.. 2021. 8. 2.
택지소유 상한 법안 발의, 택지란? 공정한 사회가 되어야지, 평등한 사회란 없다! 서울이나 광역시에서 약 400평 이상의 택지를 소유할 수 없다는 법안 발의를 했는데, 본인은 서울과 전남 영광 등에 약 1,145평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함. '답·임야'로 택지소유 상한법과는 무관, 이낙연 의원 대표 발의. 한다면, 택지가 아닌 토지소유 상한을 해야 할 것 같은데. ※ 택지란 건축물이 건축된 토지 또는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토지(주거·상업·공업용지)를 말함. 종합부동산세법 일부개정벌률안, 택지소유 상한에 관한 법률안,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종부세법은 '유휴토지 초과이득에 대한 과세' 택지소유상한법은 '1가구가 소유할 수 있는 택지면적의 상한을 특별시·광역시는 1,320제곱미터, 특별시·광역시 이외의 시지역에서는 .. 2021. 7. 29.
보건복지부, 2021년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말한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1호) ※ 기준 중위소득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금액(원/월) 1,827,831 3,088,079 3,983,950 4,876,290 5,757,373 6,628,603 7,497,198 *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1인 증가시마다 868,595원씩 증가. (8인 가구 8,365,793원) 기준 중위소득 계산하는 법은?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80%는? 1,827,831 × 80% = 1,462,265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180%는? 1,827,831 × 1.. 2021. 7. 28.
2022.1.1 이후 근로장려금 소득상한금액 200만 원 인상! 개정 후, 30만 가구 추가 혜택! 근로·자녀장려금 소득상한금액 인상 개정 총소득기준금액 200만 원 인상 반기 근로장려금 시기 단축 근로·자녀장려금 결정통지서 전자송달 도입 개인적인 생각엔, 작년 소득세와 부동산 관련 세재(취득세, 양도세, 종부세) 인상하여 내년엔 부자에게 걷은 세금을 저소득층에게 나눠주겠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선거가 나라를 망친다.. 서초, 한길공인중개사 2021. 7. 28.
2021년 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에서 2021.07.26 '세법개정안'을 발표, 세법개정안의 기본 방향은 작년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2020년 2021년 코로나19 피해 극복 및 포스트 코로나 대비 경제활력 제고 선도형 경제 전환 / 경제회복 지원 포용기반 확충 및 상생·공정 강화 포용성 및 상생·공정기반 강화 조세제도 합리화 및 납세자 친화 환경 조성 안정적 세입기반 / 납세자 친화 환경 조성 기타 기타 작년에는 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 인상이 화두였다면, 이번 2021년 세법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반도체, 배터리, 백신 등 국가전략기술 R&D·시설투자 세제지원 강화, 근로장려금 소득기준 상한 확대, 고용증대 기업 세액공제 등. 작년과 달리 부동산 관련 내용은 거의 없음. 부동산 관련하여 달라지는 점.. 2021. 7. 27.
부동산 거래 허위신고, 기획조사 부동산 계약 해제 시, 해제 신고가 의무화된 2020.02.12 ~ 2020.12.31까지 이뤄진 71만 여건의 아파트 거래 등기부 자료를 전수조사. 거래 신고는 있었으나 잔금지급일 이후 60일이 지나도 소유권 이전등기 신청을 하지 않는 거래 2,420건을 적발. ※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에 따라 잔금지급일 이후 60일 이내 등기신청을 해야 함. 허위로 거래신고를 했거나, 계약 해제 후 해제 신고를 하지 않았거나, 정상거래 후 등기신청만 하지 않은 경우 모두 과태료 처분 대상임. 허위로 거래 신고한 경우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동산거래신고법 제28조제1항) 해제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5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동산거래신고법 제28조제2항) 등기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취득세 5배 이하의 과태료 (.. 2021.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