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궁금해136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시행공고, 주요 Q&A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누가 얼마나 받는지 알아봅니다. 접수처 소상공인손실보전금.kr 문의처 콜센터 ☎ 1533-0100 ※ 손실보전금 안내 문자는 5월 30일부터 발송, 문자 내 링크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1.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2. 신청기간 및 지급시기 1) 신속지급 2022.5.30 ~ 7.29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 홀짝제 시행). 2) 확인지급 2022.6.13 ~ 7.29 3) 이의신청 2022.8월 중 예정.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시행 공고 중소벤처기업부 공고 제2022-353호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원문에서 확인하세요.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관련 주요 Q&A 1. 방역지원금을 받은 업체는 모두 손실보전금을 받을 수 있나? 2. 지원대상이 연매출 50억 원 이하 중기업으로 확대되었는데,.. 2022. 5. 30.
만 나이, 한국 나이, 너 몇 살이니? 한 사람에 나이가 3개? '만 나이' 하나로 통일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법 우리나라 나이 계산법 만 나이 태어날 때 0살, 생일마다 +1살 민법과 형법, 관공서 등 연 나이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병역법, 청소년보호법 등 한국식 세는 나이 태어날 때 1살, 새해마다 +1살 관습적 사용 ※ 1979년 11월생의 경우, 만 나이는 42살, 연 나이는 43살, 한국식 세는 나이는 44살. 나이 계산법이 3가지가 있어서 그런 건 아니고, 요즘 누가 나이를 물어보면 헷갈림. 그냥 오락가락 함. 법 개정으로 내년부터 '만 나이'로 통일해서 사용한다 하더라도, '도로명 주소'처럼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 '오른쪽으로 걷기'도 마찬가지. 위 사진은 starbucks 'strawberry cheese .. 2022. 5. 27.
청년 1억 통장, 청년도약계좌란? 제20대 대통령 윤석열 정부에서는 청년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상품들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그중 '청년 1억 통장'이라 불리는 에 대해 알아봅니다. ※ 아직 확정된 내용이 아닌 예정이므로, 세부 사항은 변동될 수 있음. 청년도약계좌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세~34세 일하는 청년이라면, 10년 동안 매달 70만 원씩 납입(한도)하고 1억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 청년도약계좌 납입 월 70만 원까지 기간 10년 수령액 1억 원 가입자와 정부, 매월 납입 금액 연소득 본인 정부 2,400만 원 이하 30 40 3,600만 원 이하 50 20 4,800만 원 이하 60 10 4,800만 원 초과 70 0 ※ 연소득 4,800만 원 초과의 경우는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2022. 5. 3.
불규칙 동사(irregular verbs), 2편 불규칙 동사 1편에 이은 두 번째. M으로 시작되는 불규칙 동사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make made made mean meant meant meet met met P로 시작되는 불규칙 동사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pay paid paid put put put Q로 시작되는 불규칙 동사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quit quit quit R로 시작되는 불규칙 동사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read read* read* ride rode ridden ring rang rung rise rose risen run ran run * 발음에 주의 S로 시작되는 불규칙 동사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say said said see saw seen seek sought sought sell sold sold send.. 2022. 5. 2.
불규칙 동사(irregular verbs), 1편 * 불규칙 동사 규칙 동사는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이 모두 -ed로 끝난다. (과거분사형은 완료 시제와 수동태에 사용) 불규칙 동사는 -ed로 끝나지 않는데, 원형/과거형/과거분사형의 형태가 같거나 다르다. ※ 오렌지색은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은 같으나 원형과 다름, 파란색은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모두 같은 형태. 붉은색은 원형과 과거분사형의 형태가 같음을 표시. B로 시작하는 불규칙 동사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be was/were been beat beat beaten become became become begin began begun bend bent bent bet bet bet bite bit bitten blow blew blown break broke broken bring brought b.. 2022. 5. 2.
2022년 근로장려금, 달라진 점은?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기간은 5월 1일~31일. 2022년부터 달라지는 부분을 알아봅니다. 소득요건, 간주전세금, 부동산 임대수익 ※ 국세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함. 가구별 소득요건 200만 원 인상 가구별로 상한금액 200만 원씩 인상으로, 신청 대상자가 늘어납니다. 부모님 집에 거주한다면 해당 주택의 간주전세금만 총재산에 합산. 2022년 정기신청 이후 신청·정산분부터는, 직계존비속에게 임차한 경우 해당 주택 기준시가의 100% 간주전세금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 주택에 사는 김길동씨의 재산이 5,000만 원, 부모님의 재산이 예금 1억 원, 주택 1억 원일 경우, 지난해에는 부모님이 김길동씨의 가구원으로 재산합이 2억 5천만 원으로 장려금 대상이 아님. 그러나 개정세법을 적용하면 부모님을 가.. 2022. 5. 1.
과거 진행형, 과거 시제 (I was doing, I did) 과거의 어느 시점에 '~을 하고 있던 중이었다'를 표현.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그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아직 끝나지 않고 진행 중임을 나타냄. ← I was doing → I started doing I finished doing past past now When Lisa arrived, we were having dinner. (저녁 식사를 이미 시작한 상황) When Lisa arrived, we had dinner. (Lisa가 도착한 후에 저녁 식사 시작) ※ have가 '소유하다'의 의미일 때는 진행형이 불가능. 과거진행형 was/were + ing I he she it was 동사원형 + -ing we you they were 이미지 Unsplash@davide colonna 츤데레영어 2022. 4. 30.
현재 진행형, 현재시제 (I am doing, I do) 현재시제와 현재 진행 시제를 비교해 보는 시간. 현재 진행형 am/is/are + ing I am (not) 동사원형 + -ing he she it is (not) we you they are (not) 현재 진행형은 말하고 있는 시점이나 그즈음에 진행되고 있는 일, 즉 아직 끝나지 않은 행동에 대해 말할 때 사용. 일시적인 상황에서는 현재 진행형을 사용. ※ today, tonight, this week The water is boiling. 물이 끓고 있다. 현재 진행형 현재시제 I am doing ← I do → past now future past now future 현재시제는 일반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말할 때 사용. 지속적인 상황에서는 현재시제를 사용. ※ every, al.. 2022. 4. 30.
일반동사 의문문 (do, does, did) 주어의 움직임(동작)을 표현해주는 일반적인 동사, 일반동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반동사의 의문문과 부정문은 조동사 do가 필요. 일반동사 현재형 (present simple) 주어가 3인칭 단수(he/she/it 등)일 때를 제외하고 동사원형을 씁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는 '동사원형 + -(e)s'의 형태. I/we/you/they like work live watch do have he/she/it likes works lives watches does has 대부분의 동사는 '동사원형 + -s'의 형태이고, 동사원형 뒤에 -es가 붙는 경우는 -s, -sh, -ch, -o, -x로 끝나는 동사 동사원형 + -es pass → passes, finish → finishes -y로 끝나는 동사 y.. 2022. 4. 28.
be동사 (am, is, are) 영어의 동사(Verb)는 크게 두 가지, be동사와 일반동사. be동사를 쓰던 일반동사를 쓰던 영어 한 문장에 동사는 하나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럼 be동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be동사란 (am/is/are) be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알려주며, '연결 동사'이다! 주어를 보조해주는 '명사, 형용사(상태), 전치사구(위치)'를 연결해 주는 역할. She is a lawyer. (명사) She is beautiful. (상태) She is at home. (위치) 단순히 '~이다'라고만 해석하면 안 됨. be동사의 현재형 (present) be동사는 주어(인칭, 단수·복수)에 따라 'am, is, are' 세 가지를 사용. I(나) 1인칭, we(우리) 1인칭 복수 / you(너) 2인칭, you.. 2022. 4. 28.